이원영 (바둑 기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원영은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다. 2009년 입단하여, 아마추어 자격으로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본선에 진출했다. 2017년 LG배 세계기왕전 8강, 2022년 국수산맥배 국내 토너먼트 우승을 차지했다. 한국 바둑 리그와 중국 바둑 을급 리그에서 활동했으며, 2014년과 2022년 한국 바둑 기사 랭킹 16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정부시 출신 - 조명균
조명균은 대한민국 공무원으로, 통일부 교류협력국 국장, 개성공단사업지원단 단장, 대통령비서실 안보정책비서관 등을 거쳐 문재인 정부에서 제39대 통일부 장관을 지냈다. - 의정부시 출신 - 문희상
문희상은 1992년 정계 입문 후 6선 국회의원을 지내며 김대중, 노무현 정부에서 요직을 역임하고 국회의장까지 오른 더불어민주당 계열의 정치인이지만, 위안부 발언 논란, 아들 세습 논란 등 여러 논란에 휩싸인 후 2020년 정계에서 은퇴했다. - 한국바둑리그 - 김수장 (바둑 기사)
김수장은 1974년 입단하여 1993년 9단으로 승단한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며, 2013년 미추홀배 바둑최강전에서 우승했고, 저서로 《묘수풀이 1, 2》 등이 있다. - 한국바둑리그 - 강훈 (1957년 바둑 기사)
강훈은 1974년 프로 바둑 기사로 입단하여 1996년 9단으로 승단한 한국의 바둑 기사로서, 박카스배 우승 등 국내 기전에서 활약했고, 한국바둑리그 팀 감독을 역임하며 지도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 충암고등학교 동문 - 김용현 (군인)
김용현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대통령경호처장과 국방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12월 10일 내란 혐의로 구속되었다. - 충암고등학교 동문 - 이상민 (법조인)
이상민은 대한민국 법조인으로,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중앙행정심판위원회 위원장을 거쳐 행정안전부 장관으로 재직했지만, 이태원 압사 사고로 인해 탄핵 소추 및 계엄령 선포 후 사퇴했다.
이원영 (바둑 기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이원영 |
출생 | 1992년 5월 8일 (31세) |
출생지 | 경기도 의정부시 |
소속 | 한국기원 |
스승 및 제자 | |
스승 | 권갑용 |
제자 | 없음 |
프로 경력 | |
입단 | 2009년 |
단 | 9단 |
2. 약력
연도 | 주요 경력 |
---|---|
2009년 |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본선 진출 (아마추어 자격, 1승 2패)[1] 제121회 입단대회 입단 |
2010년 | 2단 승단 BC카드배 월드 바둑 챔피언십 64강 한국 바둑 리그 (하이트진로) 및 중국 바둑 을급 리그 (윈난 성) 출전 |
2011년 | LG배 세계기왕전 32강 원익배 십단전 본선 진출 |
2012년 | 3단 승단 BC카드배 16강 |
2013년 | 4단 승단 |
2014년 | 5단 승단 백령배 32강 박카스배 천원전 본선 한국 바둑 기사 랭킹 16위 |
2015년 | 몽백합배 64강 천원전 4강 |
2016년 | 6단, 7단 승단 |
2017년 | LG배 세계기왕전 8강 |
2018년 | 8단 승단 |
2021년 | 9단 승단 |
2022년 | 국수산맥배 국내 토너먼트 우승 안동시 백암배 바둑 오픈 최강전 준우승 한국 바둑 기사 랭킹 16위 |
2. 1. 입단 및 초기 활동 (2009년 ~ 2014년)
2009년 제121회 입단대회를 통해 프로 바둑 기사가 되었다.[1] 아마추어 시절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예선을 통과하여 본선에 진출, 1회전 리그에서 1승 2패로 탈락했지만 잠재력을 보여주었다. 같은 해 프로에 입단했다.[1]2010년 2단으로 승단했으며, BC카드배 월드 바둑 챔피언십에 출전했다. 한국 바둑 리그에서는 하이트진로 팀으로, 중국 바둑 을급 리그에서는 윈난 성 팀으로 활동했다. 2012년 3단으로 승단했고, BC카드배에서 16강에 진출하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2013년 4단, 2014년 5단으로 꾸준히 승단했다.[1]
2. 2. 국내외 기전 활약 (2015년 ~ 2021년)
2015년 제2회 몽백합배 본선 64강, 바카스배 천원전 4강에 진출했다.[1] 2016년 6단과 7단을 거쳐 2018년 8단으로 승단했다.[1] 2017년 LG배 세계기왕전 8강에 진출했다. 2021년 9단으로 승단했다.[1]2. 3. 첫 우승 및 최근 활동 (2022년 ~ 현재)
2022년 국수산맥배 국내 토너먼트에서 프로 데뷔 이후 첫 우승을 차지했으며, 안동시 백암배 바둑 오픈 최강전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1] 2014년과 2022년에 한국 바둑 기사 랭킹 16위에 올랐다.[1]3. 주요 성적
2009년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예선을 통과하여 본선에 진출했으나 1회전 리그에서 1승 2패로 탈락했다. 같은 해 프로에 입단했다.[1]
이후 BC카드배 월드 바둑 챔피언십에 출전했고, 2012년 대회에서는 16강에 진출했다. 2015년에는 천원전 4강에 올랐고, 2017년 LG배에서는 8강에 진출했다.[1] 2022년에는 국수산맥배 국내 토너먼트에서 우승하며 첫 타이틀을 획득했고, 안동시 백암배 바둑 오픈 최강전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한국 바둑 기사 랭킹 최고 순위는 2014년과 2022년에 기록한 16위이다.
2010년부터 한국 바둑 리그와 중국 바둑 을급 리그에 참가했다.
3. 1. 타이틀
국수산맥배 국제 바둑대회 국내 토너먼트 우승 (2022년)[1]3. 2. 국제 기전 성적
LG배 세계기왕전 2017년(제22회) 8강[1]3. 3. 국내 기전 및 기타 성적
연도 | 소속팀 | 성적 |
---|---|---|
2010년 | 하이트진로 | 8승 4패 |
2011년 | 하이트진로 | 7승 5패 |
2012년 | 정관장 | 8승 9패 |
2013년 | 넷마블 | 7승 5패 |
2014년 | 정관장 | 9승 4패 |
2015년 | 화성시 | 3승 12패 |
2016년 | BGF리테일CU | 8승 8패 |
2017년 | 포스코케미칼 | 10승 6패 |
2018년 | 포스코케미칼 | 8승 6패 |
2020-21년 | 바둑 메카 의정부 | 8승 6패 |
2021-22년 | 바둑 메카 의정부 | 9승 7패 |
2022-23년 | 바둑 메카 의정부 | 기록 없음 |
- 중국 바둑 을조 리그
연도 | 소속팀 | 성적 |
---|---|---|
2010년 | 운남 유화 제약 | 4승 3패 |
2011년 | 운남 개원 | 5승 2패 |
2012년 | 운남 금성 담보 | 4승 3패 |
2013년 | 운남 건공 | 3승 4패 |
2014년 | 덕주 장하 영화 바둑 클럽 | 기록 없음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